경제를 보는 10개의 창문은 매일 변동하는 금리, 환률, 주가라고 하셔서 적어보도록하겠습니다.
전날의 기록을 보고싶다면 여기를 클릭💨
2024년 06월 25일 화
금리 | 환율 | 주가 | |||
한국 3년 국채 금리 (한국 기준금리선행) |
3.201
(0.01)
|
원달러환율 (원화대비 달러강세) |
1,387.50
( -0.11 ) |
코스피지수 (한국주가지수) |
2,774.39 ( 9.66 ) |
한국 10년 국채 금리 (한국 기대 인플레이션) |
3.27 | 달러 인덱스 (세계통화 대비 달러강세) |
105.89 ( 0.42) |
S & P 500지수 (미국주가지수) |
5,469.30 ( 21.43 ) |
미국 2년 국채 금리 (미국 기준금리선행) |
4.65 (0.06) |
주요국 환율 (유로, 위안, 엔환율) |
달러/유로 1.07 ( -0.28) 위안/달러 7.26 ( 0.06) 엔/달러 159.68 ( -0.03) |
나스닥 지수 (미국기술주지수) |
17,717.65 ( 220.84 ) |
미국 10년 국채 금리 (미국 기대 인플레이션) |
4.23 (0.02) |
💸 달러 인덱스
세계 주요 6개국 통화(EUR, JPY 일본 엔, GBP 영국 파운드, CAD 캐나다 달러, SEK 스웨덴 크로나, CHF 스위스 프랑) 대비 달러화의 평균적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통화 가치가 비교적 안정적인 주요 6개국 통화 가치 대비 달러 가치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 100을 기준으로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달러의 가치가 높아졌다는 의미이며, 100보다 낮으면 달러의 가치가 하락했다는 의미합니다.
즉, 미국 달러 인덱스(U.S. Dollar Index)는 세계 주요 6개국 통화에 대비 미국 달러의 평균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국고채 3년'의 의미?
국고채는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정부에서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공공목적 등에 필요한 재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할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국관채' 라고 하였지만 1998년부터는 국고채로 명칭이 변경되었어요. 쉽게 설명하면 국가가 필요한 돈을 차용증을 쓰고 빌리는 그런 느낌입니다.
정부에서는 공적자금등을 마련하기 위해서 채권을 발행하게 되는데요.
1️⃣ 국고채 -> 나라에서 발행한 채권
2️⃣ 3년 ->만기 (보통 3년 만기가 많이 거래가 됩니다. )
3️⃣ 금리-> 채권의 수익률의 이미합니다.
국고채 3년 금리 라고 하면 이런 뜻입니다.
🔎 국채 = 국고채 (국고채는 국채의 한종류입니다.)
🔎 국채는 재정증권, 외국환평형기금채권, 국고채 ,국민주택채권으로 4종입니다.
💡 국고채의 종류는 3년 5년 10년 20년 50년 (5종류)
3년물의 수익률은 시장금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 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며, 국고채는 비교적 안전 (회사는 부도 등) 하기 때문에 수익률이 회사채에 비하여 낮은경우가 많습니다.
국가에서 빛을 갚지 못하게 되면 발생하는 것이 디폴트 또는 채무불이행(non payment)입니다.
채권의 가격은 시장금리와 반대로 움직입니다.
💰 채권의 경우 발행하는 주체를 기준
1️⃣ 정부가 발행시 ⇒ 국채 (예시 주택채권)
2️⃣ 지방자치단체가 발행시 ⇒ 지방채
3️⃣ 주식회사가 발행시 ⇒ 회사채
'경제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기초 지식 & 필수 용어 가이드 📖 (0) | 2025.02.04 |
---|---|
🌱현명한 저축과 투자의 이해 (0) | 2025.02.04 |
미래에셋증권 TAMS 13기 🌟 1일차 첫 번째 교육_미래에셋 그룹 소개 (0) | 2025.02.04 |
경제를 보는 10개의 창문 (24.06.26 수) (0) | 2024.06.27 |
경제를 보는 10개의 창문 (24.06.24) (0) | 2024.06.25 |